잡히지 않으려 동·식물들 몸 줄이고 일찍 번식부실한 자손 낳고 결국 종의 재생산 위기 불러 자연계에서 포식자는 어리거나 늙은 개체를 주로 잡아먹는다. 사람은 어획이든 사냥이든 가장 큰 성체부터 잡는다. 자연계 최강의 포식자인 인간이 취하는 이런 독특한 취향은 자연을 어떻게 변화시켰을까.
호랑이, 사자 같은 자연계 포식자는 새끼·늙고 병든 개체 사냥 크리스 다리몽 미국 캘리포니아대 박사팀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인류는 동·식물의 진화속도를 증가시켜 장기적으로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사람의 포획 압력을 받는 종은 그렇지 않은 종보다 진화 속도가 3배나 빠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몸 크기는 20% 작아지고, 번식에 이르는 시기는 25% 일러졌다. 이 연구는 인간에 의해 ‘수확’되는 29종의 동·식물이 겪는 형질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호랑이, 사자 같은 자연계 포식자는 먹이를 사냥할 때 갓 태어난 새끼나 병들고 늙은 대상을 고른다. 부상의 위험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다. 덕분에 생식력이 가장 왕성한 다 자란 개체는 살아남아 번식의 주역이 된다.
사람은 정반대이다. 수산업에선 일정한 길이를 정해 그 이하의 어린 고기는 잡지 못하게 한다. 그물코를 규제하기도 한다. 그물을 빠져나가는 작은 고기일수록 생존확률이 높아진다.
개체의 크기가 작아지면 상대적으로 먹이가 풍부해지고, 이는 물고기가 일찍 성숙하도록 이끈다. 다 자란 개체들이 사라진 바다에서 조숙한 미성숙 개체들이 번식에 참여하는 일이 늘어난다.
가축은 크고 건강한 씨앗만 골라 번식에 활용
사냥도 마찬가지다. 캐나다에선 일정한 크기 이상의 큰뿔양만 잡을 수 있도록 한 결과 지난 30년 사이에 이 양의 길이와 몸무게가 20% 줄어들었다. 식물도 예외가 아니어서, 북미산 산삼 채취가 늘어나면서 산삼의 크기도 차츰 감소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어장을 형성하다가 불과 수십년만에 남획으로 완전히 붕괴한 대서양 대구는 가장 극적인 사례이다. 웬만한 아이보다 크게 자라던 대구는 이제 왜소해졌고, 지난 20년 사이에 번식연령은 6살에서 5살로 낮아졌다.
이런 양상은 우리나라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조사를 보면, 2005년 우리나라 연근해에 사는 갈치의 99.1%가 성숙체장 25㎝에 미치지 못했다. 1970년까지만 해도 미성어의 비율은 44.1%에 지나지 않았다. 이밖에 삼치의 거의 모두, 참조기의 93.5%, 참돔의 62.3%가 미성어였다.
잡히기 전 작고 어릴 때 번식하는 것은 포획압력에 대응하는 한 전략일 수 있다. 그러나 미성숙 번식은 부실한 자손을 낳을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해당 종의 재생산 능력을 위험에 빠뜨릴 가능성이 높다.
흥미롭게도, 사람은 가축을 기를 때는 자연을 대할 때와 다르게 행동한다. 어린 가축을 도축하고 크고 가장 건장한 씨앗 가축만을 골라 번식에 활용한다. 우량 한우 씨 수소 한 마리는 약 2만마리까지 암소를 임신시킨다(간접적으로).
다리몽 박사는 “늑대는 20 종의 먹이를 먹지만 인간은 수십만 종을 먹는 만큼 자연에 광범한 영향을 끼친다”며 “게다가 인간의 영향이 사라진다 해도 사라진 동식물의 형질이 다시 돌아온다는 보장은 없다”고 밝혔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