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은 대한민국의 언론 운동 시민단체이다. 2008년 5월 31일 인터넷 포털 다음에 카페를 개설하여, '조중동폐간 국민캠페인'이란 이름으로 개설되었다가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으로 이름을 바꿨다. 간단히 언소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
[편집] 개요
- 2008년 5월 31일 인터넷 카페(http://cafe.daum.net/stopcjd) 가 개설될 때에는 단순 동호회의 성격을 가졌으나, 2008년 8월 30일 정식 언론운동시민단체로 창립되었다.[1] 창립 당시 3000여 명의 창립발기인들이 조직 설립에 참여하였다.
- 2008년 6월의 이명박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문제 삼아 촛불 시위가 한 창일 때,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즉 이른바 조중동 신문이 쇠고기 수입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강변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노무현 정부 때까지 주장한 모든 말[2] [3]을 뒤집은 것이었기 때문에 시민들은 그 때부터 조중동 세 신문의 정체를 깨닫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 조중동 거부 운동이 힘을 얻기 시작했고, 마침 카페를 시작한 언소주는 많은 수의 회원들이 가입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2008년 6월에만 약 4만명의 회원이 가입하였고, 2008.6.25 하루에만 6,400명의 회원이 가입하였습니다. 조선일보에 대한 광고주 불매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입니다.
- 그래서 현재까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에 광고를 게재하는 기업들에 대한 광고 불매운동을 하는 한편, 해당 신문들이 여러가지 사건들을 왜곡하여 보도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러한 사례들을 보도비평 사이트를 통해 알리고 있다. 또한 조선일보 지국의 불공정행위를 고발하는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한겨레·경향신문의 광고주 명단은 언소주 카페에 기재, 조선일보 광고주 명단은 구글 독스에 링크하여 알리고 있다.
[편집] 활동
-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시위 당시 시위대에 악의적이고 평화적인 시위대를 폭력불법 시위대로 허위기사를 냈던 조선·동아·중앙일보에 광고한 광고주에게 광고를 중단하라고 협박한 혐의(업무방해)로 기소된 24명 전원에게 1심에서유죄가 선고된[4] 후 이전과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광고불매운동을 하고 있다. 일반소비자 의견 전달, 주주·등록고객 숙제등 다소 모호한 이름의 게시판을 통해 조선·동아·중앙일보에 광고한 광고주에게 항의운동을 계속하고 있다.
- 한겨레21, 위클리경향, 시사인, 미디어오늘을 4대 정론 주간지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 주간지를 구독시 매체에 후원의사를 밝히면 매체가 받은 구독료를 언소주와 나누는 것으로 후원할 수 있다. 언소주 운영팀은 매체들로 부터 받는 정확한 금액을 밝히지 않겠지만 투명하게 운영하겠다고 공지했다.[5]
- 한겨레, 경향신문을 정론지로 규정하고 있다. '10만부 후원 /5백만 구독'을 목표로 하고있다. 언소주 정론지후원팀에게 후원하겠다고 의사를 밝히고 후원을 하면, 그 후원금으로 도서관, 미용실, 복지관, 노인정등에 신문을 공급한다. 한편, 해당신문사는 2개월분(연 30,000원)신문을 무료로 '언소주'에 후원하게 된다. 무료로 신문사에서 후원된 신문은 다시 도서관, 미용실, 복지관, 노인정등에 신문을 공급한다.
- 한겨레, 경향신문을 구독하는 가게·업체를 '개념업체'로 규정하여 카페에 개시하고 있다. 다음 지도, 네이버 지도에 높은 평점을 주고 '무개념업체'에 대해선 낮은 평점을 주는 활동을 한다.
- 2009년 6년 21일 '언소주'에 따르면, 지난 8일 광고주 불매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 5만3000여명이던 회원이 21일 현재 7만2000여명으로 2주 만에 2만명 가까이 늘었다. 나이로는 30대 말에서 40대 초반이 많고, 직업은 회사원·주부·교수·학생 등으로 다양하다고 언소주는 밝혔다. 경기, 대전, 강원, 부산 등 지역 회원도 늘고 있는 추세다. [6]
[편집] 조선·동아·중앙일보 광고사 불매운동
[편집] 제1차 광동제약
- 광동제약이 조선·동아·중앙일보에 비해 한겨레, 경향신문에 적게 광고를 한다는 이유로 광동제약에 대해 불매운동을 전개 하였다. 언소주는 조선·동아·중앙일보에 광고를 하지 말아달라고 요구하였으나 여의치 않자 한겨레와 경향에도 동등하게 광고해 달라고 요구[7]하여 광동제약이 받아들여, 불매운동을 철회하였다. 그러자 "대기업은 못 건드리고 힘 없는 중견기업을 괴롭힌다"는 비난 여론에 휩싸였다.[8] 이에 대해 한겨레는 사설을 통해 "언소주 불매운동은 정당성을 갖고 있으나 불매운동을 하면서 한겨레등 다른 신문에도 조중동과 동등하게 광고를 싣도록 요구한 대목은 논란을 불러 일으킬수 있다"면서, "언소주의 소비자운동이 명분과 정당성을 가지려면 조중동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불매운동 대상 기업이 소비자 의견에 귀를 기울여 ‘편중 광고’를 시정하고 공정하게 광고를 집행할지 여부는 기업 자율에 맡기는 게 타당하다"라고했다. 그러면서 "조선·동아·중앙일보는 불매운동 매도에 앞서 왜 많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불매운동을 하는지 그 이유를 되돌아보고 자성을 하라"고 썼다. [9] 언소주 대표는 "불매운동의 철회 조건으로 조중동과 동등한 광고를 한겨레와 경향신문에 내도록 요구하는 것은 운동 취지에 오해를 부를 소지가 있다고 판단해 불매운동의 목적이 특정 언론에 광고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 돼서는 안 된다는 회원들의 의견이 있어 앞으로는 조중동 광고 중단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라고 밝혔다.[10]
2차 삼성그룹
- 언소주는 2번째 불매운동 기업으로 삼성그룹 5개 계열사인 삼성전자, 삼성화재, 삼성증권, 삼성생명, 삼성에버랜드를 선정했다.
- 삼성그룹은 한겨레가 삼성에 대해 악의적인 보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판단, 지난 2007년부터 한겨레에 대한 광고 게재를 중단한 상태다. 삼성그룹은 언소주가 불매 대상 기업으로 정한 것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평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또한 언소주 카페에 "삼성의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해 글로벌 불매운동을 벌이고, 부정적 이미지를 해외에 알려 수억달러의 광고비를 밑 빠진 독으로 만들자"는등의 의견이 나오자, 국내 경제 전문 연구기관의 한 임원은 "특정 기업에 대한 정상적인 소비자운동이 아니라 국내 대표 그룹을 쓰러뜨릴 수 있다면 국가 이미지가 파괴되어도 상관없다는 '막가파식' 행동"이라며 "견해는 다르지만 대한민국을 함께 잘 만들어보자는 세력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어떻게든 부숴버리고 싶은 반국가 집단 같다"고 말했다. LG그룹 한 임원은 "언소주 회원들은 제정신이 아닌 것 같다"라고 말했다.[11][12]
- 반면 정연우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언소주 불매운동은 기업의 상품뿐 아니라 판매와 광고 전략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 소비를 결정하겠다는‘윤리적 소비’의 한국적 사례”라며 지지를 표했다. 또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상임이사는 “언소주 운동은 법원에서도 인정한 정당한 소비자운동”이라며 “조중동의 사실 왜곡에 따른 ‘언론품질’을 문제삼는 시민들의 자발적 운동을 ‘경제 죽이기’로 몰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13]